최근 한국에서는 인공지능(AI)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60~70대 시니어들도 AI 관련 다양한 일거리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디지털 격차 해소와 평생 경제활동, 그리고 삶의 보람까지 잡으려는 시니어들이 적극적으로 도전하는 실제 사례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데, 이 글에서는 실전에 가까운 노년층 AI 일자리부터 실제 교육·채용 정보와 접수처까지,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시니어와 AI: 빠른 변화의 중심에 서다
예전엔 노인이 IT로 일한다는 생각 자체가 혁신적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60~70대 시니어가 데이터 라벨러, AI 체험단, 돌봄 로봇 서비스 참여 등 다양한 업무에 참여하며 실질적인 보람과 소득을 얻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정부와 지자체, 노인인력개발원 등은 시니어 맞춤형 AI 교육, 일자리 연계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데, 60대 이상이 실제 취업센터에서 AI 기업과 1대1 맞춤 면접과 직업교육까지 받고, 일할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적합한 업무에 추천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2. 시니어에게 적합한 AI 관련 쉬운 일자리: 실무와 실제 사례
1) AI 데이터 라벨러(Data Labeler)
가장 대표적인 AI 관련 쉬운 일은 바로 데이터 라벨러입니다. AI가 공부할 교재를 사람이 만들어 주는 일로, 사진/영상/문장/음성 자료에 정확한 ‘이름표(라벨)’나 ‘분류’를 붙여 주면, 그걸 토대로 AI가 무언가를 인식하거나 판단하는 능력을 키우게 되는데, 초보자도 쉽게 할 수 있는 비대면 온라인 업무라고 합니다. 실제로 인천시·노인인력개발원 등 전국적으로 데이터 라벨러 일자리 창출이 활발하며, 컴퓨터·스마트폰 교육 이수 후 집에서 근무할 수 있는 특장점이 있다고 합니다.
접수 및 정보
• 한국노인인력개발원: ☎️ 1577-1925 / http://www.kordi.or.kr
• NIA 데이터 바우처 플랫폼: ☎️ 080-888-8880 / http://www.data.go.kr
• 크라우드웍스: 시니어 전용 데이터라벨러 교육 및 채용지원
2) AI 돌봄로봇·AI 말벗 서비스 사용·피드백
AI 돌봄 로봇이나 말벗 서비스 체험자가 되는 일도 시니어에게 점점 확산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서울시, 경기도, 대전 등에서는 노인 혼자 사는 가정에 AI 로봇이 지원돼 일상 대화, 복약 안내, 심리 말동무, 위기신호 감지까지 다양한 케어를 한다고 합니다.
접수 및 정보
• 국민건강보험공단: ☎️ 1577-1000 / http://www.longtermcare.or.kr
• 주민센터·지자체 노인복지과: 지역별 AI 돌봄 서비스 신청가능
3) AI 체험단·베타테스터
신제품, 서비스(음성 인식, 스마트홈, 건강관리앱) 등을 실제로 써보고, 간단한 피드백과 개선점을 기업에 전달하는 베타테스터, 체험단 일도 추천되고 있습니다. 60~70대 시니어를 대상으로 하는 체험단 모집 공고는 과기부, 지자체, 복지관 등에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접수 및 정보
• 한국정보화진흥원(NIA)/시니어 IT체험단: ☎️ 053-230-1114 / http://www.nia.or.kr
• 지역 노인복지관·평생학습관 문의
4) AI 상담 및 고객지원 보조
AI 상담 시스템의 안내멘트 읽기, 생활 정보 안내 보조, 고객 질의 체크 등 단순 상담 보조도 일자리로 확장되고 있으며, 특히 재택·시간제 참여 형태라서 시니어에게 유리합니다.
접수 및 정보
• 한국노인인력개발원/시니어클럽: ☎️ 1566-7062 / http://www.seniorclub.or.kr
5) AI 기반 사회서비스 지원
카카오톡 챗봇, 정부 안내앱, AI 기반 정보입력 등 사회서비스 지원 도우미도 시니어에게 열려 있습니다. "찾아가는 시니어 디지털 스쿨"을 비롯해, 전국 복지관·평생학습관에서 무료로 디지털 기기와 AI 활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접수 및 정보
• 디지털배움터: ☎️ 1800-0096 / http://www.디지털배움터.kr
• 카카오 시니어 디지털스쿨: 교육참여·교재신청 가능
3. AI 일자리에 참여하는 시니어 실제 이야기와 교육 프로그램
실제로 68세 AI 데이터 라벨러 김 씨는 "간단한 컴퓨터 교육만 받아도 라벨러 일에 참여할 수 있고, 자택에서 원하는 만큼 근무해 자유롭다"고 했습니다. 여러 시니어들은 디지털 무료 교육과 일자리 상담 후 실제 채용까지 진행된다고 하며, 서울 서초구 스마트시니어 교육센터, 삼성 시니어 디지털 아카데미, 한국 시니어 디지털 교육 협회 등에서 맞춤형 AI·디지털 교육 체험 후 취업 연계까지 지원해 준다고 합니다.
디지털 교육은 무료로 진행되며, 스마트폰·앱 활용·AI 기초·데이터 분류 등 단계별 과정이 있어 누구나 천천히 익힐 수 있고, 동료와 함께 배우며 지역 커뮤니티에 소속되는 이점이 있다고 합니다. 또 시니어들은 평생학습관의 AI 체험단 등에 참여 후 경험담을 나누기도 하며, 이를 바탕으로 취업, 부업, 사회서비스 활동까지 이어가고 있다고 합니다.
앞으로의 전망과 실전 팁
60~70대 시니어의 AI 관련 일자리는 앞으로 더욱 확대되리라고 전문가들은 전망합니다. 단순반복, 체험, 실사용, 서비스안내 같은 비교적 쉬운 직무군부터, 점차 교육을 통해서 데이터관리, 품질검수 등으로 역할이 넓어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참여하고 싶다면 반드시 공공기관·복지관·노인인력개발원 등 신뢰할 수 있는 공식 채널을 활용할 것을 강조하며, 무료·맞춤형 교육(디지털배움터, 노인일자리센터)부터 먼저 이수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또한 시니어 IT교육, 평생학습관, 시니어클럽 등에도 직접 문의해서 상담·모집공고를 확인할 것을 권고합니다.
일자리 유형 | 주관기관/정보사이트 | 대표 전화번호 | 신청방법 및 경로 |
데이터 라벨러 | 노인인력개발원, NIA | 1577-1925, 080-888-8880 | www.kordi.or.kr, www.data.go.kr |
AI 돌봄 서비스 | 건강보험공단, 지자체 | 1577-1000, 지역별 주민센터 | www.longtermcare.or.kr |
AI 체험단·베타테스터 | NIA, 복지관 | 053-230-1114, 지역 복지관 | www.nia.or.kr, 복지관 문의 |
AI 상담 보조 | 노인인력개발원, 시니어클럽 | 1566-7062 | www.seniorclub.or.kr |
디지털 사회서비스 | 디지털배움터, 복지관 | 1800-0096, 복지관 | www.디지털배움터.kr |